반응형
파킹통장이란?
목돈을 잠시 보관하는 용도의 통장이라고 하는군요.
단기적인 자금 자금운용시 효과적이지 않을까 합니다.
토스에서 여러 계좌를 조회하고 관리하기 때문에 당장 쓰지 않는 자금을 토스뱅크에 넣어두고 있는데 500만원에 270원대 이자가 매일 나옵니다.
일반 수시 입출금통장의 이자가 0.X%대라면 파킹통장의 이자는 현재일 기준 토스뱅크 2.3%(5천만원 이상 연4%)입니다.
그런데 OK저축은행 파킹통장은 입금구간별로 다르긴 하지만 최대 4.5%대라는군요.
우대금리 적용시 0.5%까지.
예금자 보호법에 의해 5천만원까지 원금이 보장이 되고..
수시 입출금통장과 이름과 이자만 틀릴뿐이니 굳이 수시 입출금통장을 유지해야할 필요를 못느끼겠습니다.
금리차이가 꽤나 큰 편이긴 하지만 편리함 때문에 토스뱅크를 계속 이용하고 있습니다.
금리 차이가 크니까 옮겨야 한다는 둥 하는 내용들이 많이 보이던데 저처럼 소소한 자금을 넣어두는 용도라면 큰 의미는 없어 보입니다.
도토리 우습게 보는 것은 아니지만 몇 바퀴 굴려봐야 큰 티가 안나는군요.
여러 은행의 계좌 다 등록시키고 카드결제대금이나 소액 주식투자 등 편리함이 많아서 전 그냥 토스 씁니다.
간편한 송금이나 보험, 부동산 정보나 시세, 대출, 기타 소소한 기능까지 정말 다 쓰지도 못할 정도로 편리하고 간결합니다.
인터페이스는 어중이 떠중이가 따라오지 못할 정도로 훌륭하죠.
꽉 채워서 5천 정도라면 한번 고민해 봐도 되겠지만. 몇백이라면 그냥 도토리.
반응형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스증권에서 보조지표를 표시한다 - 볼린저밴드, RSI 등등 (0) | 2023.02.17 |
---|